<소아 강박증>

Q 세 살 된 남자아이가 한 가지 물건에 강한 집착을 합니다. 어린 아이한테도 강박증, 집착증이 있을 수 있나요? 아니면 그냥 성격인걸까요?

진행 변정은 도움말 김태훈(사랑샘터 정신건강의학과의원 원장) 참고도서 <잔소리 없이 내 아이 키우기>(경향에듀)

 

집착은 과도기적 현상

3세 전후의 아이들이 물건에 집착을 보이는 경우를 과도기적 현상이라고 하며 아이가 집착을 보이는 물건은 과도기적 대상이라고 한다. 대개 집착을 보이는 경우는 아이가 성정하면서 정상적으로 나타나는 모습이다. 아이는 세상에 태어날 때 자아 상태가 아주 미숙한 상태로 태어난다. 또한 절대적으로 부모의 도움, 특히 엄마의 도움을 많이 필요로 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이런 상태는 아이는 엄마와 밀착되어 엄마와 아이가 분리가 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이런 아이가 성장하면서 엄마와 점차적으로 조금씩 분리를 할 수 있게 되는데, 엄마와 분리되는 과정에서 과도기적 매체를 필요로 하는 것. 아이는 털이나 부드러운 물건 혹은 엄마의 머리카락 등에 집착과도 같은 행동을 보이게 된다. 이런 현상을 과도기적 현상이라고 한다. 이 현상은 만3세 전후로 나타나지만 보통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아이는 쉽게 외로움을 타는 아이들에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4세 이후에 집착을 보이는 원인

1 엄마와의 애착이 불안정할 때

아이가 엄마에게 충분한 관심과 애정을 받지 못한다고 느끼면 자신이 좋아하는 장난감이나 사물에 지나치게 집착할 수 있다. 엄마에게서 받지 못하는 사랑과 위안을 사물을 통해서 얻는 것

2 부모의 영향

아이는 부모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부모가 좋아하는 물건을 아이가 그대로 좋아하게 되는 것. 부모가 자신도 모르게 아이에게 특정한 사물에 대해서 인상적으로 흥미를 보였다면 아이는 부모를 따라서 그 물건에 특별히 관심을 가지게 된다.

3 성향의 문제

어떤 사람은 자동차를 좋아하고, 어떤 사람은 음악에 관심이 많듯 아이도 자신의 기호에 따라 행동하게 된다.

4 강박증상의 일부

흔하지는 않지만 병적인 행동의 일부로 집착증을 보이는 경우도 있다. 자폐아동의 경우 한 가지 사물, 그것도 사물의 일부분에 지나친 집착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또 강박장애 아동의 경우 특정한 물건을 가지고 특정한 법칙에 의해 반복적인 행동을 보일 수 있다.

 

아이 집착 줄이기

첫째, 관심 유도하기

집착 대상을 일방적으로 떼어놓거나 집착 행동에 대해 혼을 내는 것은 효과적이지 않다. 우선은 아이가 다른 물건이나 활동에 관심을 가지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이가 특정한 사물에 집착을 보인다면 다른 사물을 보여주되 집착 대상과 비슷한 속성을 가진 것을 준비해준다.

둘째, 주의를 준 뒤 치우기

집착 대상 물건이 아이에게 위험할 수 있는 물건, 예를 들어 먼지 묻은 수건이라든지 뾰족한 장식이 많은 물건 등이라면 아이의 안전을 위해서 치워주어야 한다. 이때 갑자기 일방적으로 뺏기보다는 1주일 전부터 이제 물건을 치울 것이라는 얘기를 지속적으로 설명해준 뒤 치울 것

셋째, 보상 이용하기

아이가 집착 대상물이 아닌 다른 물건에 잠깐이라도 관심을 보일 때는 아낌없는 칭찬을 해준다. 또한 집착행동을 보일 때는 불이익을 준다. 불이익이란 가벼운 정도의 것, 예를 들면 그 것을 계속 가지고 있으면 간식을 먹을 수 없다든지, 물건을 제자리에 놓은 뒤 간식을 먹을 수 있다 든지의 규칙을 정하고 실행해야 한다.

넷쨰, 아이 마음 이해하기

무조건 집착 대상 물건을 뺏고 탓하기 보다는 아이가 왜 그 물건을 좋아하는 지에 대해 먼저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이가 어떤 이유로 이 물건을 좋아하게 됐는지를 알아보고, 아이에게 부모가 걱정하고 있는 부분을 얘기해 아이 또한 부모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box 소아 강박증이란?

강박증은 불안 장애 중 하나로 떨쳐버려 해도 떨쳐버리지 않는 의도하지 않았는데도 머릿속에서떠오르는 침습적 사고와 이런 사고를 해소하고자 하는 행동을 의미한다. 또 이런 증상으로 인해 대인관계와 사회적 활동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정도일 때를 의미한다.

소아 강박증 증세 중에서 가장 흔한 것은 일종의 결벽증과 같은 모습이다. 강박증세를 보이는 소아의 경우 성인이 된 이후에도 강박적인 성격을 보일 수 있으며 심할 경우 강박성격장애로 진단될 수 있다. 강박증은 어른이 된 이후에는 치료가 힘들지만, 증세가 나타나기 시작하는 초기에 바로 잡아 주면 쉽게 호전되기 때문에 세심한 부모의 관심이 필요하다. 아이가 유달리 깔끔하고 강박 증세에 대한 통제가 되지 않아 생활에 지장을 받을 정도라면 소아정신과를 찾아 전문의와 상담과 치료를 받을 것.

강박증 치료 어떻게 해야 할까

1 융통성 있는 부모가 될 것

부모가 강박적인 성향이 강할 때 아이 또한 강박증 증세를 보일 수 있다. 또한 결벽증이 있는 아이의 경우 아이가 지나치게 더러움을 참지 못한다는 것은 그만큼 아이가 불안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곳 집안에서 지켜야 하는 규칙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럴 때에는 집안의 규칙을 줄이고 단순화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융통성 있게 유아의 말에 좀 더 귀를 기울이는 지혜가 필요하다.

2 아이를 안심시킬 것

부모가 아이의 집착을 억지로 꺾으려고 하기보다는 유아를 안심시키는 데 주력해야 한다. “옷에 먼지가 묻어도 괜찮아. 나쁜 일이 생기지도 않아.”등의 말을 해줌과 동시에 부모가 시범적으로 다소 더러운 옷을 아무렇지 않게 입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출처 2016년 6월 베이비


사랑샘터 소아 정신과 원장 정신과 전문의 김태훈

 

#소아정신과, #ADHD, #소아우울증, #언어치료, #정신과, #놀이치료, #언어장애, #언어지체, #언어발달, #강북정신과, #서울정신과, #강북소아정신과, #서울소아정신과, #발달장애, #난독증, #아스퍼거증후군,#소아ADHD, #청소년ADHD, #성인ADHD, #산만한아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부주의, #우울증, #산후우울증, #학습치료, #인지치료, #사회성 훈렵, #그룹치료, #소아강박증, #공황장애, #불안장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