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부적응증이란?

 

 



 


사례) 9살인 미수는 올해 또 한번의 입학식을 갖는다. 학교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해 자퇴한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수업시간에 한번도 제자리에 앉아있지 못하고, 선생님이 야단을 쳐도 듣는 둥 마는 둥이었다. 게다가 학교를 빼먹기도 일쑤였다. 결국 선생님의 권유로 미수의 부모님은 미수를 자퇴시켰다.

새학기가 시작되면서 입학생을 둔 학부모들에게 있어서 가장 큰 관심거리 무엇일까? 아마도 내 아이가 학교에 가서 잘하고 있는지 그렇지 못한지 하는 걱정일 것이다.
대다수의 보통 아이들은 친구들과도 잘 어울리고 선생님 말씀도 잘 들으며, 수업도 잘 따라가는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어디나 예외는 있다.
보통 아이들과는 달리 친구들과 제대로 어울리지 못하고, 수업시간에 산만하며, 학교를 싫어하는 아이들이 있다. 이처럼 학교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를 학교 부적응증이라고 말한다.
미수 역시 학교에 제대로 적응 못한 학교 부적응증의 경우이다. 사랑샘터정신과 김태훈 원장은 “아이들이 학교에 적응을 하지 못하는 경우를 일컬어 학교 부적응증이라고 합니다. 학교 부적응증은 매우 다양한 원인에 의해 나타날 수 있습니다.”라고 설명한다.

여러 원인으로 발생
아이들이 학교에 가기 싫어하는 부적응 행동을 보이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다. 김태훈 원장은 “아이들이 학교 부적응을 보이는 이유는 분리불안 장애, 학습장애, 우울증, 환경요인, 종교문제 등 헤아릴 수 없이 많습니다.”라고 이야기한다.
이 중 먼저, 분리불안 장애란 아이가 엄마와 떨어지면 불안감을 느끼는 증상을 말한다. 이 경우에는 엄마와 아이가 동시에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김 원장은 말한다. 무의식적으로 엄마도 아이와 떨어지게 되면 불안해 아이를 옆에 두려 하기 때문이다.
학업을 제대로 쫓아가지 못하는 경우에도 학교 부적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보통 지능이 떨어지는 아이들은 수업을 제대로 쫓아가지 못해 학교에 잘 적응하지 못한다. 그러나 학습장애를 나타내는 아이들은 정상 지능임에도 불구하고 주의력이 결핍되어 있어서 또는 충동적이어서 수업에 충실하지 못한다. 이것은 곧바로 학교 부적응을 야기한다.
다음으로 부모님이 돌아가셨거나 이혼을 한 경우, 경제적인 문제로 가정이 파탄 난 경우 등의 가정 환경 요인도 아이가 학교에 적응을 잘 하느냐 못하느냐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이 외에 아이가 우울증이 있는 경우에도 학교에 적응을 잘 하지 못할 수 있고, 몰몬교나 여호화증인처럼 특이한 종교를 가진 경우에도 부적응증이 나타날 수도 있다.
이처럼 여러 원인으로 아이가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면 부모는 아이를 키워왔던 그 어느 때보다 더 현명하게 대처해 나가야한다. 그러면 아이가 장애를 딛고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부모의 현명한 대처법>
․원인은 조기에 파악한다.
아이가 학교 부적응증을 나타내면 무엇보다도 원인을 먼저 찾아야 한다. 원인을 찾아내 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면 아이는 금방 증세의 호전을 나타낸다.
․아이에게 관심을 기울인다.
“선생님이나 학교에서 잘 알아서 하겠지”라는 방관적인 자세는 옳지 않다. 아이가 왜 그러한 문제를 나타내는지 따뜻한 관심과 애정으로 지켜봐 주는 것이 중요하다.
․아이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보조해준다.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못한다고 해서, 수업을 쫓아가지 못한다고 해서 아이를 나무라거나 아이에게 화를 내는 것은 좋지 못하다. 아이가 스스로 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도록 옆에서 다그치지 말고 보조해 주는 것이 좋다.
․아이를 믿는다.
아이를 신뢰하는 동시에 아이에게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불어넣어 준다.

 


사랑샘터 소아 정신과 원장 정신과 전문의 김태훈

 

#소아정신과, #ADHD, #소아우울증, #언어치료, #정신과, #놀이치료, #언어장애, #언어지체, #언어발달, #강북정신과, #서울정신과, #강북소아정신과, #서울소아정신과, #발달장애, #난독증, #아스퍼거증후군,#소아ADHD, #청소년ADHD, #성인ADHD, #산만한아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부주의, #우울증, #산후우울증, #학습치료, #인지치료, #사회성 훈렵, #그룹치료, #소아강박증, #공황장애, #불안장애


 


산만한 우리아이 혹시 ADHD

저자
김태훈 지음
출판사
청출판 | 2010-04-14 출간
카테고리
가정/생활
책소개
ADHD의 비밀과 산만한 우리 아이 진단법! 최근 ADHD(주...
가격비교

 

 



 

 

모든 치료에서 조기 치료가 중요하듯이 ADHD도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 그러나 실제 임상 현상에서는 ADHD 단독 문제가 있어 소아정신과에 내원하는 경우보다는 ADHD와 동반된 학습 부진, 정서 문제, 언어 문제가 있거나 아이 행동 문제가 심각하여 부모가 손을 쓰지 못할 경우를 접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이유는 장기간의 약물 치료에 대한 거부감과 아이 심리 치료에 대한 인식 부족, 가족들의 정신과 치료 반대로 인한 것이며 이로 인해서  좋은 치료 효과를 놓치게 되는 안타까운 경우가 많이 있게 된다.
이러한 것은 ADHD 조기 치료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인한 것이므로 ADHD 조기 치료 필요성에 대해서 언급하고자 한다.

1. 자율성 획득
자율성(autonomy)은 아침에 일어나서 세수하고 옷을 입고 식사를 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하교 후 본인 숙제와 공부를 스스로 챙기는 나태하고 싶은 본능과 반대하는 자아(ego)의 기능중 하나이다. 이러한 기능은 아이가 태어나서 자라면서 조금씩 습득하여 초등학교 입학후 학교 생활을 해나가는데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이다. 이러한 자율성은 학교 생활을 하면서 조금씩 발달하면서 후에는 스스로 본인이 해야 할 일들을 스스로 계획, 점검, 실행및 평가하는 능력으로 발달하게 된다. 그러나 ADHD 아동들은 증상으로 인한 인내력 부족으로 인해서 자율성(autonomy)이 부족하다. 스스로 준비물을 챙기지 못하고 옷을 입지 않을려고 하며 자신이 해야 할 일보다 노는 것에만 치중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지속된다면 청소년이 되어서도 정리 정돈하지 못하고 계획을 세우지 못하고 본인 생활을 부모 도움 없이 해나갈 수가 없게 된다. 이러한 자율성은 청소년기에 약물 치료를 하더라도 습득하는 것이 어렵다.
2. 또래 관계(social network)
아이들은 학교에 입학하면서 발달 과정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친구 관계이다. 친구 관계를 통해서 친밀감 경험 및 경쟁을 통해서 성장 발달하며 성인이 되었을 때 사회 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존재이다. 이러한 관계 시작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것은 학교 입학후에 시작된다. 이러한 또래 관계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보다 복잡해지면서 다른 친구들을 통해서 자신이 평가되면서 나름대로 서열이 정해지게 된다. ADHD 아동들은같은 또래 관계에서 의견 충돌이 많고 싸움이 많기 때문에 친구들 서열 관계에서 밀려나게 된다. 이러한 관계가 지속하게 되면 성장하면서 보다 복잡해지는 서열 관계및 평가 사이에서 계속 밀려나가게 되며 이러한 관계에서 뛰어난 자신의 능력까지 무시를 당하거나 평가 절하된다. 이러다보면 왕따가 되기 쉽고 같은 나이 또래들과 어울리지 못하게 되어 인터넷 중독이나 같은 문제가 있는 ADHD 아동들이 모여서 비행 행동을 일삼게 된다. 따라서 또래 관계에서 문제점이 심화되기 전 같은 또래들과 원활하게 지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아이들 관계가 보다 복잡하고 다양하게 발전하기 전 치료하여 이러한 관계에서 원활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3. 학업
학년이 올라갈수록 공부 내용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양이 많아지게 된다. 또한 같은 시간에 따른 습득하게 되는 학습 양과 질에서 차이가 생기게 되는데 이는 어려서부터 학습되면서 이런 학습이 반복되면서 내용이 심화되면서 보다 고차원적인 사고와 심사숙고하는 내용이 많아지면서 처리해야 하는 정보량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ADHD 아동들은 증상으로 인해서 학업에서 낙오되기 쉽다. 그러나 학업 문제가 경미하거나 초등학교 저학년에 학업 성적이 많이떨어져 있지만 이를 빨리 개선한다면 문제가 달라질 것이다.

4. 정체성 확립
ADHD 아동들은 증상특징으로 인해서 부모, 학교와 친구들로부터 부정적인 평가를 받게 된다. 부정적인 평가는 비난, 질책, 처벌을 포함하게 되는데 이런 평가가 지속될 수록 아이는 자신감 결여와 소극적인 자세를 가지게 되며 이로 인해서 불안정해지면서 쉽게 불안하게 된다. 이러다보니 쉽게 자극받아 분노가 폭발하게 되어 주변으로부터 질책은 더욱더 심화되고 이러한 관계가 되풀이되면서 자아 정체성에 대해서 손상을 받게 된다. 이러한 것들은 성장하면서 ADHD 아동들에게 보다 악영향을 미치게 되어 따라서 ADHD 아동들 대부분 청소년이 되었을 때 우울증과 같은 기분 장애를 동반하게 되며 후에는 자신을 발전하는데 중요한 동기를 상실하게 되어 자아 정체성이 손상하게 되어 건강한 어른이 되는 것에 실패하게 된다.

따라서 ADHD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조기 치료이다. 조기 치료라 함은 유치원 시절부터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를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아이가 ADHD가 의심된다면 빨리 소아정신과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사랑샘터 소아 정신과 원장 정신과 전문의 김태훈

 

#소아정신과, #ADHD, #소아우울증, #언어치료, #정신과, #놀이치료, #언어장애, #언어지체, #언어발달, #강북정신과, #서울정신과, #강북소아정신과, #서울소아정신과, #발달장애, #난독증, #아스퍼거증후군,#소아ADHD, #청소년ADHD, #성인ADHD, #산만한아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부주의, #우울증, #산후우울증, #학습치료, #인지치료, #사회성 훈렵, #그룹치료, #소아강박증, #공황장애, #불안장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