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리라면 어떻게 했을까!’(ADHD 긍정적 모습 살리기) - 소아정신과

 

건망증이 심해 방금 듣고 본 것을 잊어 버리는 도리는 소위 short term memory loss를 앓고 있어 이에 따라 일상 생활에서 지장을 받고 있는 상태이다. 이런 도리가 자신을 양육하던 부모를 찾게 된다는 것이 영화 도리를 찾아서의 줄거리이다.

영화 중에서 도리의 short term memory loss라고 일컫는 여러 가지 모습은 ADHD 증상 중에서 부주의 증상과 유사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도리의 short term memory lossshort term memorylong term memory로 전환하는 과정 이를 working memory라고 하는데 이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 않기 때문에 나타나며 이런 모습은 ADHD 주된 증상 중에서 부주의에 해당되는 모습이기도 하다..

도리는 말하다가 자신이 무슨 주제로 말을 하고 있었는지 의도를 잊어버리고 엉뚱한 말을 하는 모습 그리고 길을 찾다가도 다른 무언가에 정신이 팔려 길을 잃어버리는 모습, 무언가에 눈에 보이면 자신이 하던 것을 잊어버리는 모습, 몰 리가 말미잘 촉수에 마비될까봐 오지 말라고 부탁하는데도 말미잘 촉수에 쏘이는 모습 등등 대다수 도리가 보이는 모습은 필자가 소아정신과 진료를 하면서 수없이 접하는 ADHD 아동들의 모습이기도 하다. 또한 가르쳐도 암기를 하지 못해 계속 잊어 버리는 모습은 ADHD 아동이 학습 부진 원인중 하나인 암기가 제대로 되지 않는 모습과도 동일하다.

낯선 곳에 가서 눈치없이 목청 높여 부모를 부르다가 그들을 잡아 먹는 대왕 오징어를 만나 고생하는 니모 아빠 말린은 천방 지축인 도리 덕분에 전편에서 고생하게 되는 것도 ADHD 아동의 부모가 겪게 되는 어려움과도 많이 유사하다.

대개 이런 경우 실제 상황에서는 부모는 ADHD 아동을 나무라고 혼을 내지만 계속해서 반복되는 이런 도리 모습에 부모들은 많은 좌절을 경험하게 된다. 이런 반복된 좌절에 부모나 주변 사람들은 좌절에 따른 분노를 참지 못하고 ADHD 아동들을 비난하거나 체벌을 과하게 하면서 자신의 분노를 폭발하게 된다. 이런 과정에서 ADHD 아동들은 슬픔을 경험하고 이런 슬픔이 쌓이면서 공격성이 내재화 되면 ADHD에 의한 2차적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이 영화에서는 몰리는 만약 내가 도리라면 어떻게 행동했을까?’하면서 도리의 산만한 행동에서 보다 더 긍정적인 측면을 찾고자 하면서 부딪치는 난관에서 해결점을 찾으려 하였다. 그러나 도리의 이런 모습은 ADHD 아동이 반복된 실수와 이에 따른 질책을 통해 실패감에 젖어 주눅이 들 수 있지만 겉으로는 주눅 들지 않고 언제 혼이 났는지 잊어버리고 아무 생각없이 노는 ADHD 아동의 산만한 모습이기도 하다. 그러나 다른 측면에서 보면 속이 없듯한 ADHD의 이런 모습은 불행한 기억을 금방 잊어 버리고 툴툴 터는 ADHD 아동의 한 긍정적인 모습이기도 하다. 어찌하였든 난관을 해결하고자 하는 긍정적인 자세는 불가능할 것 같은 도리의 부모를 찾게 해주는 실마리가 되어 주었다.

또한 도리의 이런 긍정적 사고 태도는 도리에 대한 부모의 아낌없는 보살핌의 결과이기도 하다. short term memory loss란 난관에 부딪쳐도 도리 부모는 좌절하지 않고 도리를 위해 끊임없는 반복 교육을 하였다. 도리는 뜻하지 않은 상황에서 자신이 어렸을 때 부모와 같이 놀았던 조개와 모래를 생각하면서 자신이 놀았던 바로 그 장소를 기억함으로써 부모를 찾게 되는 실마리를 찾게 된 것이다.

이는 비록 아이가 short term memory loss를 보이더라도 부모와 함께 한 즐거운 시간이 많을수록 이런 경험들이 변연계에 행복한 마음과 함게 각인되기 때문에 단기 기억이 장기 기억으로 넘어가는 working memory 역할이 부진하더라도 가능한 현상이기도 하다. 반대로 어릴 때 부모가 도리의 문제 때문에 잘 놀아주지 않고 혼자 모래바닷에서 놀도록 방치하였다면 전혀 뜻하지 않은 낯선 상황에 부딪쳤을 때 도리는 부모가 좋아하던 보라색 조개를 생각하고 조개따라 놓인 길을 따라 가면 부모를 만날 수 있을 것이란 것을 생각하지 못했을 것이다. 따라서 아이가 부모와 함게 즐겁고 행복한 시간을 많이 가져야 하는 것도 뜻하지 않게 떠올리게 되는 어릴적 시절 부모와 함게 했던 행복한 기억이 극복하지 못할 난관을 극복하게 해 주는 힘이 되기 때문이다

아이가 행복하게 자라야 하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사랑샘터 소아 정신과 원장 정신과 전문의 김태훈

 

#소아정신과, #ADHD, #소아우울증, #언어치료, #정신과, #놀이치료, #언어장애, #언어지체, #언어발달, #강북정신과, #서울정신과, #강북소아정신과, #서울소아정신과, #발달장애, #난독증, #아스퍼거증후군,#소아ADHD, #청소년ADHD, #성인ADHD, #산만한아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부주의, #우울증, #산후우울증, #학습치료, #인지치료, #사회성 훈렵, #그룹치료, #소아강박증, #공황장애, #불안장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