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코로나) 눈에 보이지 않는 공포가 더 무섭다. -정신과 (신종코로나) 눈에 보이지 않는 공포가 더 무섭다. -정신과 지금 우한에서 시작된 코로나 바이러스 폐렴이 전세계로 확산되면서 지구상 대부분 나라들이 공황 상태에 놓여 있다. 중국과 밀접한 관계에 놓여 있는 우리 나라 역시 예외가 아니다. 과거 우리 나라는 바이러스에 의해 여러 차.. 일상과 정신과 2020.02.27
영화 <뷰티풀 마인드>조현증 극복-노벨 경제학상 수상 천재의 삶 - 신경정신과 영화 <뷰티풀 마인드>조현증 극복-노벨 경제학상 수상 천재의 삶 - 신경정신과 <뷰티풀 마인드>는 장래가 촉망되던 한 천재 수학자가 정신 분열증이란 정신병에 걸리게 되어 그의 재능을 빛내지 못할 위기를 맞았지만 헌신적인 아내의 노력으로 이를 극복하고 ‘균형 이론’을.. 정신과에 대한 오해 2019.07.09
토이스토리3 추억속 장난감이 소중한 것은? -소아정신과 토이스토리3 추억속 장난감이 소중한 것은? -소아정신과 앤디가 어려서부터 가지고 놀던 우디와 버즈는 둘도 없는 친구이면서 라이벌이었다. 앤디가 성장해 대학에 입학하게 되자 더 이상 장난감 동료들과 놀지 않았다. 그러자 장난감들은 앤디가 장난감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자 자신을.. 영화와 정신과 2019.06.25
공황 장애는 솥뚜껑 보고 놀라는 것과 같다. -정신과 공황 장애는 솥뚜껑 보고 놀라는 것과 같다. -정신과 정신과 진료를 하다보면 가장 흔하게 접하는 정신과 질환중에서 공황 장애가 있다. 공황 장애는 갑작스럽게 심한 불안 발작과 아무런 예고 없이 다양한 신체 증상들이 나타나는 불안 장애중 하나이다. 공황 장애에서 공황은 갑작스럽.. 정신과 2019.06.13
90세 노파도 18세 소녀로 만드는 사랑의 힘-정신과 <영화> 하울의 움직이는 성 90세 노파도 18세 소녀로 만드는 사랑의 힘 마법과 과학이 공존하고 있는 19세기 유럽. 인간들의 욕망이 끝을 항해 치달리면서 전쟁이 일어나기 전 어수선한 시기에 아버지가 물려주신 모자 가게에서 새 어머니와 함께 살면서 모자를 만드는, 매일 반복되는 .. 영화와 정신과 2019.05.14
여성 슈퍼히어로의 탄생(캡틴마블) -정신과 여성 슈퍼히어로의 탄생(캡틴마블) -정신과 2008년, 마블 스튜디오가 만화로 존재하던 미국판 슈퍼 히어로를 영화 실사판으로 제작 상영하면서 ‘인크레더블 헐크’와 ‘아이언맨’이 세상에 나오게 되었다. 당시 재능은 있지만 마약과 알콜 중독으로 말썽이던 배우 로버트 다우니 주니.. 영화와 정신과 2019.03.21
공신폰을 알고 계신가요? - 소아정신과 공신폰을 알고 계신가요? - 소아정신과 공신폰은 공부의 신 핸드폰의 줄임말이다. 2018년 1월 기준으로 공신폰을 검색하면 공신폰은 ‘공신폰4’까지 업그레이드가 되었고, ‘공신폰 뚫는 법’이라는 공신폰 본래 기능(?)을 없애는 방법이 온라인에서 소개될 정도로 화제다. 공신폰이란, .. 일상과 정신과 2019.03.12
어린이도 명절에 스트레스 받는다?- 소아정신과 어린이도 명절에 스트레스 받는다? '어린이 명절증후군' 부모의 관심과 노력 필수 [메디컬투데이 김지효 기자] 민족 최대의 명절 설이다. 우리는 가족 친지를 만나기 위해 다른 기간이나 다른 불편함을 무릅쓴다. 이처럼 행복해야할 명절이 일부 사람들에게는 불행한 경우가 있다. 이.. 학령기 교육 2019.01.25
"키 큰 남자 키 작은 여자, 서로 이상하게 끌리네~" "키 큰 남자 키 작은 여자, 서로 이상하게 끌리네~" 'HMC' 유전자도 가능성 있어…보상심리도 '한몫' [메디컬투데이 박엘리 기자] 직장인 김모(37)씨는 "내 키가 174cm인데 이 정도면 작은 키는 아닌데도 맞선을 본 후에 키가 작다는 말을 듣고 충격을 받았다"며 "나보다 키 큰 여자를 만나면 .. 일상과 정신과 2019.01.23
어린 왕자의 친구가 되어줄래? -소아정신과 어린 왕자의 친구가 되어줄래? -소아정신과 당신의 소중한 아이가 우리의 어린 왕자입니다. 당신의 아이는 어린 왕자 별의 장미처럼 너무나 소중한 아이입니다. 아이는 장미와 같이 말을 듣지 않고 심술을 부리지만 하나밖에 없는 존재이기에 너무나도 소중합니다. 어린 왕자는 단 하나.. 일상과 정신과 2019.01.21